전체 글 4

X선 흡수 반응: 컴프턴 산란, 광전효과, 쌍생성, 톰슨 산란

미시세계에서 X선이 흡수되었을 때 어떤 현상들이 발생할까? 기본적으로 컴프턴 산란, 광전효과, 전자 쌍생성, 톰슨 산란이 나타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반응 기저(원리)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방사선에 노출되어 에너지를 흡수하게되면 어떤 생물학적 효과가 발생할까? 여기(Excitation)와 이온화(ionization)가 나타난다. 여기(Excitation)는 전자가 다른 Energy Level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Excitation)가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핵이 있고 핵 주위에는 궤도 전자가 있다. + 전하를 가지고 있는 하전입자가 원자 근처를 지나가면 인력(당기는 힘)이 생긴다. 그러면 전자가 L껍질로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K껍질에는 빈 공간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을 "여기..

Radiologic Science 2021.01.28

원자, 원소, 핵, 핵종, 방사능, 방사성 총정리. 이걸로 끝내자.

과학을 공부하다보면 원자, 원소, 핵, 핵종, 방사능, 방사성, 동위원소 개념이 헷갈리기 쉽다.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 헷갈리지 않게 한방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글을 읽는다면 위의 개념에 대해 헷갈리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학계에서 사용하는 의미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원자(Atom) VS 원소(Element) 원자는 더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의 최소단위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정의하지만 학술적으로 이해할 때는 조금 더 특징을 생각해서 정의를 이해하는 것이 좋다. 원자는 "화학적 특성을 지니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그래서 원자는 사실 쪼개려면 쪼갤 수 있다. 원자핵과 궤도전자로 원자가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자를 명확하게 정의할 때는 "핵과 전자로 이루어진 화학적 최소단위"라고..

Radiologic Science 2021.01.28

마리퀴리의 진실. 마리퀴리는 방사선학의 위인이다. 방사선의 발견.

방사선은 누가 발견했을까? 방사선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뢴트겐이다. 말 그대로 자연 속에 원래 존재하던 방사선의 존재를 발견한 것이다. (발명한 것이 아니다.) 뢴트겐이 발견한 방사선은 X선이다. 이름이 왜 X선 일까? 어떤 선이기는 한데 무슨 선인지 몰라서 X선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Unknown Ray = X Ray 인 것이다. 흔히 수학에서 모르는 어떤 수를 X라고 두는데 그 의미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뢴트겐은 이렇게 발견한 X선을 자신의 부인 손을 촬영하여 학계에 발표하였다. 뒷 이야기로는 자신의 손을 찍기 무서워서 부인의 손을 실험용으로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래 사진이 학계에 보고된 첫번재 X선 사진이다. 이러한 X선 촬영 사진을 통해서 X선의 성질을 알 수 있었다. X선은 투과..

Radiologic Science 2021.01.28

영한동 사용해서 무료 데이터 받자

영한동(0한동)이 뭐야? 라고 들어오신 분들도 있으실 것 같아요. 영한동(0한동)은 대학교를 다니는 대학생이 누릴 수 있는 혜택중 하나 입니다. 무료 데이터를 받을 수 있고,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생으로써 누릴 수 있는 혜택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정책들에도 청년관련 정책들이 많이 나오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많은 기업에서 청년 우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생은 관심이 없거나, 정보를 어디서 찾아야하는지 몰라서 많은 혜택을 놓치고 있습니다. 대학교 자체적으로 대학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국가가 대학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기업이 대학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정말 많습니다. 앞으로 천천하지만 꾸준히 이 내용들을 공유하고자 ..

Radiologic Science 2021.01.18
1